전국 공공미술/조형물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공공미술및조형물정보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4 / 2024-12-10 03:02:45
조선 후기에 파손되어 전하지 않으나 탁본이 남아 있어서 현재 복원 작업 중에 있다. 회전문(廻轉門) / 국가문화유산_보물[1963년 지정] 1557년경 보우대사가...세우거나 그림을 걸도록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중생들에게 윤회전생을 깨우치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름은 청평사 창건설화인 공주설화와 연계...
소풍인생(2025-08-22 14:02:00)
조선 후기의무신이었던 엄황(嚴愰, 1589-1653)이 편찬한 <춘천지(春川誌)>에는 "서향원의 옛터는 영지의 서쪽 골짜기에 있는데 김시습이 살던 곳"이라고 적고...문하시중 이자연(李子淵)의 손자다. 또한 인예왕후, 인경현비, 인절현비의 조카이다.1089년 (선종 6) 과거에 급제하여 대악서승(大樂署丞)이 되었으나 관직...
바람의길(2025-07-15 22:05:03)
비(碑) 자체의 복원 움직임이 탄력을 받게 되었던 바, 춘천시는 국비 등 1억2000만 원의 재원을 마련해 작업에 착수했다. 그리하여 마침내 2008년 7월 25일 완전한 형태로 재현된 '청평사 문수원기'를 청평사 경내에서 세우고 제막식을 가졌다. 한국전쟁으로 파손된 지 55년여 만에 비가 처음 세워진 878년 전의 모습을...
아하스페르츠의 단상(2025-05-25 22:16:25)
생사의 윤회를 벗어나 정각(正覺)에 이를 수 있게 하는 반야(般若)를 차안(此岸)의 중생이 생사고해를 건너 피안(彼岸)의 정토에 이르기 위해 타고 가는 배에 비유한 것이다. 경전에서 반야선에 대한 언급은 도세(道世)가 엮은 『법원주림(法苑珠林)』과 『제경요집(諸經要集)』, 불공(不空)이 번역한 『천수천안관세...
도귀들의 여행(2025-06-08 23:33:55)
13) 윤회(尹淮)가 저술한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와 정약용(丁若鏞)의 『만덕사지(萬德寺誌)』 등에 나타나 있다. 만덕산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만덕사(萬德寺)라고도 하였다. 백련사는 839년(문성왕 1) 무염(無染)이 창건하였으며, 중요한 수도 도량으로 면모를 달리한 것은 1211년(희종 7) 요세(了世)가 크게 중창...
산길따라 ~~, 물길따라 ~~ www.hotelnworld.com(2025-05-27 00:26:00)
명신 윤회(尹淮,1380~1436, 예문관 대제학 역임)의 손녀, 성종때 우의정,영의정을 지낸 윤자운(尹子雲, 1416~ 1478)의 누나다 또 조선 시대 얼자(孼子,천민 첩에서 태어난 아들)출신으로 최고위직(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에 오른 유자광(柳子光, 1439~1512, 유배지 사망)이 조선시대 최연소 판서(26세...
명작의 첫문단과 작가 이야기(2025-03-10 07:02:20)
重建碑) 쌍계사중건비명 쌍계사중건비(雙溪寺重建碑) 탁본(금석문 검색 - 국가유산 지식이음에서 내려받았습니다.) 이 비는 1739년(영조 15) 충난 논산의 쌍계사...이암선생이 발원하여 중수하고 목은 이색선생이 연기문을 기록하였다. 조선 후기에 병화를 만나 1716년(숙종 42)에 자영(自英)스님이 대웅전을 중수하지만...
흐름과 변화(2025-03-29 16:39:00)
깨달아 윤회전생의 고통을 끊어버리고 극락으로 가고자 하는 마음을 담은 불교건축물이다. 영주 부석사 범종각 앞 정경 회전문을 들어가면 범종루를 저 앞에...있는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보물)과 크기와 모양이 유사하다. 신라 후기에 제작된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부석사 범종루(봉황산부석사 현판) 부석사...
바람꽃 향기(2024-12-29 22:50:00)
과 비(碑)를 세워 놓은 곳이다. 본래 통도사 주변에 흩어져 있던 것을 초대 방장 월하 스님의 교시로 1993년에 한곳으로 모아 새롭게 조성한 것이다. 임진왜란...있어 통도사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보여준다. 부도원의 승탑과 탑비는 조선 후기의 특징적인 양식을 나타내고 있어불교 미술사 연구에 자료적 가치가...
궁릉사(宮•陵•寺)둥이님의 블로그(2024-12-23 12:53:00)
다음 몸을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인 49일 동안 그의 업식이 맑아지고 보다 부처님의 세계에 가까워지길 발원하는 추모의식이다 운문사 원응국사비(淸道 雲門寺 圓鷹國師碑), 보물316호. 고려 중기의 원응국사(1051∼인종22년 1144)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 송나라에 화엄의 뜻을 전하고 천태교관(天台敎觀)을 배워 귀국...
시사랑꽃사랑(2024-10-21 23:04:57)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