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공공미술/조형물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공공미술및조형물정보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4 / 2024-12-10 03:02:45
파괴된 데다 현재는 시가지가 들어서 있어 남은 흔적이 전무하다. 조선후기 ‘부산진성’은 동구 범일동 지역으로, 성곽 둘레 약 2.25km의 대규모 수군진이었다...역사가도(歷史街道)이다. ‘부산진성공원(옛 자성대공원)’~부산진시장·영가대 본터를 지나 좌천역 3번·5번 출구 역사스토리 골목에서 정공단·일신...
김복현의 산이야기(2025-07-25 19:46:00)
후 오른쪽으로 가라는 표식일 줄이야... 표지판을 따라 '매축지마을'로 가는 터널 앞 바닥 '영가대 본 터' 화살표를 따라 돌면 영가대 축소판 모형이 이곳이 영가대 본 터 임을 알린다 영가대 기념비(왼쪽사진) 영가대는 조선 후기 통신사들의 무사항해를 기원하는 해신제를 지내던 누각으로 당시에는 이름이...
아빠의행복노트(2025-05-17 09:48:00)
위치한 진시장에 쇼핑갔다가 식당골먹을 걷다 만난 유적지 영가대 본터 팻말을 보고 따라 가게되었습니다. 화살표를 따라 걷다보면 고즈넉한 곳에 영가대 모형과 기념비가 나옵니다. 차근 차근 안내문을 읽어 보기도 하고 영가대 의 의미와 조선후기 통신사의 행렬을 상상해 보기도 했습니다. 그럼 영가대 본 건물은...
아나무슈(2024-11-07 09:12:00)
흑이 언덕을 이루자 그곳에 망루를 겸해 세운 8칸 누각이다. 이후 영가대는 조선 후기 통신사를 비롯한 역대 대일 사신들이 무사 항해를 기원하며 해신에게 제사...이후 1951년 10월 15일 한청범이동단부가 옛 영가대 터였음을 알리는 '영가대 기념비'를 이곳에 ㅅ세웠다. 2003년 9월 25일 원래의 자리는 아니지만...
팬저의 삐딱고라스 정리(2024-07-02 00:37:00)
안동의 옛 지명 '영가(永嘉)'를 따서 이름 붙였다. 부산역사문화대전 영가대는 조선 후기 통신사를 비롯한 역대 대일(對日) 사신들이 무사 항해를 기원하며...이후 1951년 10월 15일 한청범이동단부가 옛 영가대 터였음을 알리는 '영가대 기념비'를 이곳에 세웠다. 2003년 9월 25일 원래의 자리는 아니지만 바다가...
정연’s BLOG(2024-06-17 10:38:00)
本鄕)인 안동의 옛 지명 ‘영가(永嘉)’를 따서 이름 붙였다. 이후 영가대는 조선 후기 통신사를 비롯한 역대 대일(對日) 사신들이 무사 항해를 기원하며 해신...1951년 10월 15일 한청범이동단부(韓靑凡二洞團部)가 옛 영가대 터였음을 알리는 ‘영가대 기념비’를 부산 진시장 뒤[또는 성남초등학교 뒤]에 세웠다...
★⑨꾸봉스★(2024-04-02 17:39:23)
조선후기 각종 그림자료에서는 정면 6칸, 측면 1칸 등 규모나 벽체 구조가 서로 다르게 그려져 있다. 2003년 정면 5칸, 측면 3칸의 규모로 자성대공원 남쪽에...3칸, 측면 4칸의 규모에 팔작지붕으로 벽체가 있는 건물임을 알 수 있다. - 영가대 안내문 - 최영장군 비각이 있는 사당입니다. 최영장군 사당 최영장군은...
몰개의 기록장(2024-01-03 23:33:00)
영가대 기념비 모습 - 사진 출처 : 「釜山でお昼を」 부산진시장 교차로에는 예전에 육교가 있었는데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조성하면서 허물었습니다. BRT 공사로 철거되기 전의 부산진시장 앞 육교 모습 - 사진 출처 : 부산일보(2021-08-05) 부산진시장 뒤로 해서 영가대 본터로 갑니다. 부산진시장의 남문...
박태근의 이야기가 있는 여행(2024-02-16 17:19:00)
조선 후기의 학자 임헌회는 ‘고산문집’의 ‘거연정기’에 "영남의 명승 중 안의삼동이 가장 빼어나고, 그 중에서도 화림동이 최고이고, 화림동 명승 중 거연정이 단연 으뜸이다."라고 기록한 바 있다. 여기서 안의삼동이란 안의현에서 경관이 빼어놨던 세곳의 동천(洞天:산천으로 둘러싸인 경치 좋은 곳), 즉 화림동...
태평양을 향하여(2024-11-02 23:59:17)
조선후기의 부산진성 규모보다도 현재의 부산진성은, 위의 첨부 지도처럼 대단히 축소되었다. 마땅히 원 위치에 복원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근대 이후 각종 도시 개발 여파 및 바다 매립, 6.25 임시수도로 인구집중 등으로, 원래 위치의 각종 문들이 부산진성 공원(구 자성대공원) 일대로 집중하여 이전 복원되었기...
애바다(2024-06-30 07:15:38)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