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공공미술/조형물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공공미술및조형물정보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4 / 2024-12-10 03:02:45
이곳에서 읽어보고 생가를 방문하면 박차정의사의 삶이 더 이해가 되실 거예요. 바로 어제 27일 오전에는 부산 금정구 만남의 광장에 있는 박차정 의사 동상 앞에서 '박차정 의사 순국 80주기 추모제'가 열리기도 했습니다. 1910년 부산 동래구에서 태어난 박차정 의사는 1929년 동래일신여학교 (현 동래여자고등학교...
여행 365 in Busan :)(2024-05-28 23:18:00)
오늘 방문했는데 감명깊었어. 우리 역사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의 고향을 직접 방문하고 느껴볼 수 있어 정말 특별한 경험이었어. 생가 입구에는 박차정의사의 동상과 함께 그의 업적을 기리는 각종 기념물들이 전시되어 있었어. 바로 그곳에서 박차정의사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니, 마음 한켠이 열리는 느낌이...
비즈니스 비밀(2024-05-25 20:03:00)
여행 후기를 계속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어디를 다녀왔는지 같이 보시죠~ 고고고! 의열 체험관, 의열 기념관 선샤인 밀양 테마파크를 본 후 향한 곳은 의열 체험관과 의열 기념관입니다. 방문하기 전에 인근에 있는 밀양 아리랑 시장에 들렀어요. 아쉽게 평일이라 그런지 많은 가게들이 닫혀 있었습니다...
아재의 낡은 다락방(2025-06-21 18:23:00)
곳 (동상, 간판같은 곳 앞에서) 에서 본인방문증빙사진을 첨부해야하는데 🔸명소에서 찍은 신분증사진(이름나오고,주민번호 꼭 가리고‼️) 본인정보는 본인이 잘...방문일자,명소이름 을 적은 종이를 명소가 알수있게 찍은 사진 다른분들 후기보니 이렇게 두가지로 참여한 리뷰가 많았음 또 다른방법이 있을수도...
최고z 블로그(2025-05-12 00:00:00)
조선후기에 동헌, 정청, 매죽당, 북별실 내삼문 이외에도 연훈당(延薰堂), 전월당(餞月堂), 신당(新堂) 등 부속 건물들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정확한 위치나 규모를 헤아리지 못하고 있다. 고종 32년(1895년)에 지방관제 개편에 따라 군청으로 명칭이 바뀌었다가 1927년도에 삼문동으로 밀양군청을 신축하여 옮겨 가게...
구포자전거오빠 여행일지(2021-02-20 09:24:00)
근거한 박차정 의사 생가를 복원, 건립하였다. 박차정의사는 부산출신의 여성 독립운동가로 의열단장 김원봉과 결혼하였다. 동상은 경부고속도로 시작점인 만남의 광장 옆에 위치한다. 1938년 10월 10일 한국에서 조선민족전선연맹 산하 조선의용대가 창설되자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의 단장을 맡아 활동하였다. 1939...
행복찾기(2019-07-16 07:07:24)
수축한 후기 동래읍성으로 구분된다. [세종실록(世宗實錄)][경상도속찬지리지(慶尙道續撰地理誌)] 등의 문헌에 의하면 전기 동래읍성은 석축으로 쌓았으며, 성벽 둘레는 총 3,092척, 높이 15척이고, 성내에는 우물이 5기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기존에 전기 동래읍성과 관련한 문화재조사는 복천동 304...
그게 궁금해서 찾아온 블로그(2023-04-08 22:09:32)
생각하고 후기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안중근 기념관은 남산도서관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어 찾기가 쉽습니다. 평소에도 남산은 운동삼아서 혹은 연인의...올라가면 안중근 기념관을 만날 수 있습니다.> <맨 먼저 안중근 의사의 동상을 만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입구 우측으로는 안중근 선생님의 친필을 조각한...
소소한 삶(2016-04-17 23:17:19)
사진과 후기 우리는 항쟁형제 역사의식이 단단한 형제, 책 속의 일제강점기를 만나다 가덕도 일본군 인공동굴 아이들과 돌아오는 차 안에서 '과연 다시는 일본의 강점기가 오지 않을까?' 그리고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보았습니다. 우리의 아이들이 역사를 잊지 않게 하기 위해서 나는 무엇...
부산민주공원 공식 블로그(2022-01-14 11:05:00)
선생 동상 중앙공원에 바람개비 태극기와 배롱나무를 영상으로 보니 더 이쁘네요. 배롱나무 꽃을 사진으로 담아 봅니다. 나중에 돌아가는 길에 다시 배롱나무를 보며 걸어갑니다. 이제 민주 공원으로 올라가면.. 4.19광장도 나옵니다. 4.19민주혁명 희생자 위령탑입니다. 옆에는 영령 봉안소가 있습니다. 4.19혁명...
한발짝더 나아가고픈 곳(2023-08-16 02:22: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