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공공미술/조형물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공공미술및조형물정보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4 / 2024-12-10 03:02:45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재판장에서 '나는 이미 나라에 목숨을 바쳤다'면서 법관에게 침을 뱉었다고 한다. 현재 376명이 망라된 해남항일운동추모비에 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해남 항일운동 합동 추모제는 2007년 3월 1일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 위치: 전남 해남군 해남읍 신안리 4-10 광복 66년만에 밝혀진 16살...
BOBOS(2025-08-12 16:38:00)
선생 추모비 헌화 및 묵념 ▼ 11:40~12:00 장보고 어린이 놀이공원 및 동상 ▼ 12:00~13:00 점심식사 (청솔가든) ▼ 13:20~14:20 신지항일운동 기념탑/기념관 ▼ 14:30~16:00 명사십리해수욕장 ▼ 16:10~18:30 광주 이동 및 해산 첫 번째 여정 해상왕 장보고의 위대한 흔적을 따라 장보고기념관 전라남도 완도군...
향기따라 여행(2025-08-14 08:30:00)
독립운동 7. 종파, 분파 남원 양씨는 시조 양우량(梁友諒)의 후손으로 조선시대 이후 크게 번창하여, 후대에 들어 여러 기세조(起世祖)에 의해 다양한 종파(宗派)로 분화되었다. 이 종파 체계는 남원 양씨의 혈통, 관직, 지역 정착을 기준으로 분류되며, 각 파는 족보상 독립된 계통으로 기록된다. 7-1. 병부공파(兵部...
뿌리 성씨 이야기(2025-07-30 17:42:34)
4학년 딸아이와 1학년 아들과 함께한 첫 애국탐험. 그저 여행이 아닌, 우리 역사를 배우고, 기억하고, 감사하는 시간이었어요. 신지의 바다를 바라보며, 항일운동과 해양개척의 역사가 한자리에 모여 있다는 것이 놀라웠습니다. 탑,동상,기념관마다 전해주는 이야기가 달랐지만, 모두 같은 마음을 향하고 있었고 "나라를...
사랑을 만드는 요술쟁이(2025-08-09 15:06:00)
다녀온 후기를 남깁니다. 암태도 소작쟁의 기념관 - 서용선 미술관 암태도 소작쟁의 항일 농민운동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곳이 암태도 소작쟁의 기념관, 서용선 미술관입니다. 소작쟁의 발발 100주년을 기념하여 2023년 11월 2일 서용선 미술관이 오픈하였습니다. 암태도 소작쟁의 기념 전시관 서용선 미술관은? 전남...
아공의 사진 여행(2025-07-14 06:30:00)
최초의 추모비 1946년 최초로 세워진 3.1독립운동 순국 기념탑과 이후 1959년 이승만 대통령 때 추가로 설치된 3.1운동 순국기념탑 일명 리맴버 조형물이 나란히 세워져있더라고요! 좌. 최초의 3.1기념비 우. 리맴버 조형물(위에 태극모양있음) 스코필드선교사는 참담한 제암이 사건을 국제사회에 알리는데 큰 역할을...
동탄 리뷰의 여왕(2025-07-23 10:59:00)
장흥군, 해남군, 완도군) 거주 초·중·고교생 및 보호자 1인 동반 가능 (총 50명 모집) 모집기간 : 2025년 7월 7일(월) ~ 7월 20일(일) 결과발표 : 7월 23일...해양생태전시관, 장보고 기념관 관람 애국지사 백산 문승수 선생 추모비 방문 신지항일운동 기념관, 기념탑 체험 명사십리 해수욕장에서 시원한 자연 체험...
엄마와 아이가 함께하는 체험, 교육 정보(2025-07-15 20:10:00)
이는 해남에서 55명, 완도에서 39명이었다. 완도 경찰도 여러 섬을 돌아다니면서 같은 행태를 반복했는데, 이로 인한 희생자는 30~40명가량 된다. 완도군 평일도 출신 임철우 작가가 이 사건을 소재로 쓴 소설이 <그 섬에 가고 싶다>였다. 이후에도 경찰은 9월 중순까지 완도군을 지키면서, 여러 섬을 돌아다니며 좌익...
송풍수월 (松風水月)(2025-08-07 11:20:00)
끼쳤다. 항일의병전쟁, 3.1독립운동, 상해임시정부, 광복군활동이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적 뿌리라는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4.9혁명, 5.18광주민중항쟁, 6.29민주화운동이 동학농민혁명에서 그 뿌리를 찾을 수 있다고 한다. 기념공원을 한두시간만에 다 볼 수 없다. 90만평에 달하는 큰 공원을 다 보려면 하루종일...
진흙속의연꽃(2025-09-05 16:03:00)
11인의 추모비 : 문명훤, 문일평, 방정환, 서광조, 서병호, 서동일, 오세창, 오재영, 유상규, 한용운, 유관순 이처럼 장소에 대한 기대감이 있었기에 이번 전시를 찾게 됐 둘레길도 일부 둘러볼 생각으로 무더운 오후를 피해 기획 전시가 열리는 9시(평일은 10시)에 맞춰 중랑망우공간을 찾았습니다. 아래쪽이긴 해도...
With U•S(2025-07-31 07:12: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