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공공미술/조형물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공공미술및조형물정보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4 / 2024-12-10 03:02:45
城子土城) 자 여기가 고구려의 첫 수도였다고 한다. 이상하네? 오녀산성(홀본성)이 고구려 첫 수도라고 설명 들었는데 여긴 또 뭐지? 알고 보니 고구려의 성은...위해 쌓은 외성(外城)이다. 그러니까 오녀산성은 외성이고 하고성자토성은 내성이다. 평상시에는 평지가 있는 내성에서 생활하고 전쟁이 발발하면 산속에...
Keep To Your Heart(2025-05-18 16:04:00)
風納土城) 사적인 풍납토성은 한강변에 남아있는 초기 백제의 토성으로 백제의 첫 왕성 위례성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조사결과 성 둘레 3.5킬로미터에 성벽의 폭 40미터, 높이 10여 미터에 달하는 동양 최대규모의 판축 토성으로 확인된바 있다 1925년 홍수로 남서쪽 일부가 잘려나가 현재는 약 2.7km 가량 남아있다 이...
까투리의 추억만들기~(2025-07-02 07:56:00)
조선후기에는 충청감영이 설치되기도 하였고, 이괄의 난(1624) 때에는 인조가 이 성으로 피난하였다. 성 안에는 백제시대 추정 왕궁터를 비롯하여 임류각과 연지 등 백제왕궁관련 유적과 4곳의 문지(금서루, 진남루, 공북루, 영동루), 쌍수정, 쌍수정사적비, 명국삼장비, 영은사, 연지 및 만하루 등 백제시대에서 조선...
창을 열면(2025-06-23 16:23:37)
없어졌는지 터만 남아 있었다. 이는 임진왜란 당시 미륵암도 피해를 입었을 가능성이 크며, 산업화과정에서 신도수 감소와 동래지역 정비과정에서 소멸되었을 것...축성 시기는 고려 시대(1021년, 현종 12년) 몽골의 침입에 대비하여 토성(土城)으로 처음 축성되었다. 조선 태종 1414년 크게 개축하였고, 임진왜란 이후...
꿈꾸는 여행자 박병직(PBJ)의 TRAVEL WORLD(2025-03-24 10:28:00)
래골공원지킴터 → 삼성사 일주문 → 삼성사 → 범골약수터 → 문필봉 → 칼바위능선 → 대동문 → 용암문 → 백운봉암문 → 백운대 → 백운봉암문 → 백운...올때 ▷ 솔밭공원역 (우이신설선) 승차 ◈ 기타 ▷ 재산행 사유 : 산행 후기 미작성 ※ 교통정보는 참고사항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사진 좌...
삼라만상(2025-06-08 11:59:00)
언양읍성은 1390년에 최초로 축조되었고, 1481년에 쓰인 <동국여지승람>에도 '토성(土城)'으로써의 언양읍성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보면 그 역사는 상당히 오래...수 있습니다. (이후에 석성(石城)으로 개축되었습니다.) 물론 현재는 그 터가 다 사라지고 성곽 일부만 남아 있는데요. 울주군에서는 역사적 중요성을...
울산광역시 울주군 공식 블로그(2025-04-02 11:50:00)
알 텐데, 제대로 공을 들여서 만든 판축토성은 굴삭기 기사가 제일 먼저 눈치챌 정도로 돌처럼 단단하다. 기술 차원에서 삼국 시대의 성벽이 조선 시대의 성벽...가 일어났다고 보면 적당하지 않을까. 참고문헌 윤용출, <조선후기 벽돌성의 축조> 국립문화재연구소, <풍납토성 -2011년 동성벽 발굴조사 현장설명회...
팔만대잡담(2025-04-06 08:02:00)
옛 토성(土城)을 연상시키는 기다란 둑이 떡하니 앞을 가로막고 있다. 북한의 침략에 대비한 방호시설이 아닐까 싶다. 그 너머는 민간인통제지역이란 얘기일 것이고 말이다. ▼ 평화의길은 이제 그 둑을 따라간다. 둑 아래로 농로가 나있다. ▼ 둑 위에는 윤형철조망이 처져 있었다. 금단의 땅이니 넘어오지 말라는 듯이...
가을하늘네 뜨락(2025-03-13 06:37:17)
답사하실 텐데, 대구 전역에서 어떤 곳이 특별히 중요한지 알아야 시간 배분을 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시간은 짧고 가볼 만한 곳은 많으니 먼저 대표 답사지부터 알아야겠습니다. 새봄 또는 새 학년도를 맞아 대구 역사여행 계획을 세우시는 데 참고자료를 제공해 드리려는 거죠. 참고로 말씀을 드리면, 지금 방송하고...
현진건학교(2025-02-14 20:08:00)
쌓은 토성(土城)이었다가 후대에 석성으로 다시 쌓았다는 견해도 있다 임진왜란(1592) · 신미양요(1871) · 한국전쟁(1950) 시기에 군사 거점으로 일부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고 성내에는 봉수대 · 우물 · 안관당(安官堂) · 동, 서문 등이 있었다 산성은 읍치(邑治)의 남쪽에 위치한 까닭에 남산석성(南山石城...
하늘 저편 노란 신발을 신고...(2025-04-04 19:48: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