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공공미술/조형물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공공미술및조형물정보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4 / 2024-12-10 03:02:45
반도도· 군록도·천리반송도·오봉일월도 등이 있습니다. 방위신으로는 청룡·백호·주작·현무·황제 등이 있고 12지신상의 민화는 벽사진경을 위한 민속에 얽힌 작품입니다. 호랑이 그림으로는 작호도·호피도 등과 산신도에 호랑이를 거느리고 있으며, 그밖에 닭·개·사자 그림 등 벽사진경의 뜻을 지니고...
영화로운 삶!(2025-06-01 15:59:00)
반도도·군록도·천리반송도·오봉일월도 등이 있다. 위키백과 두려움 없이, 김지평, 한지에 채색 방위신으로는 청룡·백호·주작·현무·황제 등이 있고 12지신상의 민화는 벽사진경을 위한 민속에 얽힌 작품이다. 위키백과 백납병풍-아카이브 2020, 김지평 호랑이 그림으로는 작호도·호피도 등과 산신도에...
하여 이야기(2025-02-06 00:30:00)
실용적인 그림으로 조선 초기까지는 주로 상층의 문화로 존재하던 것이 조선 후기에 이르러 하층에까지 확산되면서 대중화한 그림이다. 일반적으로 민속에 얽힌...송학도(松鶴圖)·군학도(群鶴圖)·해학반도도(海鶴蟠桃圖)· 군록도(群鹿圖)·천리반송도(千里盤松圖) 등은 모두 이에 속한다. 왕의 용상(龍床) 뒤에...
천무령(2024-09-04 07:10:00)
圖) · 군록도(群鹿圖) · 천리반송도(千里盤松圖)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방위신(方位神) · 십이지신상(十二支神像) : 이는 모든 시공간 속에서 재앙을 가져오는 흉한 귀신을 쫓고 상서로운 기운을 축원하는 그림이다. 동서남북과 중앙의 오방(五方)을 관장하는 청룡(靑龍) · 백호(白虎) · 주작(朱雀) · 현무(玄武...
애리블로그(2024-05-03 16:10:02)
로 표시된다. 보통은 십장생의 열 가지가 다 들어가지만 작가의 취향과 의도에 따라서 몇 가지만을 선별하여 집중적으로 그리는 경우가 많은데, 조선조 후기에 제작된 군록도팔곡병은 70여필의 사슴이 숲속에서 뛰노는 모습만을 묘사하고 있기도 하다. 호암미술관 소장의 십장생도십곡병은 18세기 후반의 도화서 제작품...
송풍수월 (松風水月)(2011-02-21 16:09:00)
Arts :: 민화 화본 경기감영도(1) 경직도(1) 고사인물도(2) 곽분양행락도(2) 군록도(2) 금강산도(4) 까치호랑이(19) 대호도(1) 동궐도(1) 모란도(2) 몽유도원도...선생님한국... blog.naver.com 민화 재료 호분, 미니절구 (유발) 사용 후기 안녕하세요! 헬로영아입니다.오늘 글은 민화 재료인 호분 & 호분을 가는 미니...
일러스트레이터 &포토샵 : 헬로영아의 아트랩(2021-01-23 07:51:00)
圖)·군록도(群鹿圖) 등이 많다. 특히 십장생도는 회갑잔치 때 수연병(壽筵屛)으로 쓰이며 임금의 용상 뒤에 놓인 오봉산일월도(五峰山日月圖)도 민화의 한 종류로 볼 수 있다. 십지이신상 12지신 방위(方位)와 관련된 12지신 및 5방을 관장하는 5신을 그린 것으로, 역병을 몰아내고 길한 것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
태양표구화랑_SUN art frame center(2019-02-25 16:05:00)
반도도·군록도·천리반송도·오봉일월도 등이 있다. 방위신으로는 청룡·백호·주작·현무·황제 등이 있고 12지신상의 민화는 벽사진경을 위한 민속에 얽힌 작품이다. 호랑이 그림으로는 작호도·호피도 등과 산신도에 호랑이를 거느리고 있으며, 그밖에 닭·개·사자 그림 등 벽사진경의 뜻을 지니고 있다. 용왕도는...
대미술관의 갤러리스타(2019-05-23 12:46:54)
조선후기의 것이 대부분입니다. 당시 민중들이 일상생활이나 종교생활등에서 필요한 그림을 그린 일종의 실용화입니다. 집의 안팎을 장식하기도 하였지만, 복을 빌거나 나쁜 귀신을 쫓기 위해서 그림을 그렸습니다. 그 한가지 예로 예전에도 한번 소개한적이 있는 책거리를 들 수 있습니다. 책거리 민화란 높게 쌓아놓은...
정성 가득한 공예세상 - 예다온(2014-07-28 15:58:00)
있는 「군록도(群鹿圖)」를 즐겨 백록도라 부르는 것이 보통입니다. 백(百)에 가까운 많은 숫자라는 뜻입니다. 예전에 백(百)은 많다, 천(千)은 아주 많다, 만(萬)은 헤일 수 없이 많다는 의미로 썼다는 사실을 헤아려 보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윤두서의 「심산지록도」는 그림 읽기로 읽으면 앞서처럼 되지만...
창원, 펜 끝의 서재 - 글과 책으로 세상과 나를 잇는(2022-11-15 19:37: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