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공공미술/조형물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공공미술및조형물정보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4 / 2024-12-10 03:02:45
“비상2000”조형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km
바로가기
행좌 표지석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km
바로가기
행좌 표지동판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km
바로가기
찾다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로 66-2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km
바로가기
토끼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로 66-2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km
바로가기
하마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로 68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km
바로가기
양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로 64-1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km
바로가기
풋프린트 동판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길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1km
바로가기
부산영화체험박물관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3가 41번지 4호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36km
바로가기
한광미술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4가 82번지 1호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1km
바로가기
동아대학교박물관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2가 1번지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32km
바로가기
석당미술관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2가 1번지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32km
바로가기
임시수도기념관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3가 22번지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45km
바로가기
동의대학교박물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 467 동의대학교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4.74km
바로가기
동의대학교 박물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 464번지 121호 1동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4.74km
바로가기
한국거래소 자본시장역사박물관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1229번지 1호 00동 00호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6.13km
바로가기
증권박물관(부산관)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1227번지 2호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6.26km
바로가기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948번지 1호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6.55km
바로가기
KT&G 상상마당 부산미술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521번지 1호 KT&G상상마당부산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6.56km
바로가기
부산포민속박물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168-176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6.79km
바로가기
부산영화체험박물관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126번길 12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33km
바로가기
부산근대역사관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 104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43km
바로가기
한광미술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대로 130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2km
바로가기
동아대학교석당박물관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9km
바로가기
동아대학교 석당미술관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9km
바로가기
동아대학교 박물관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9km
바로가기
동아대학교석당미술관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9km
바로가기
임시수도기념관
부산광역시 서구 임시수도기념로 45(부민동3가)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44km
바로가기
동주대학교 석파박물관
부산광역시 사하구 사리로55번길 16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3.3km
바로가기
부산보건대학교 석파박물관
부산광역시 사하구 사리로55번길 16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3.3km
바로가기
국립해양박물관
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4.92km
바로가기
동의대학교박물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엄광로 176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5.06km
바로가기
��다작은도서관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 61-2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69km
바로가기
닑다작은도서관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 61-2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69km
바로가기
보수동책방골목어린이도서관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 57-16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74km
바로가기
구정자료실작은도서관
부산광역시 중구 중구로 120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81km
바로가기
홀리조이 작은도서관
부산광역시 영도구 대교로50 (봉래동1가) 2층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84km
바로가기
부산기독교 종합사회복지관 강유두작은도서관
부산광역시 서구 까치고개로229번길 40, (토성동2가) 2층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05km
바로가기
초장동꿈터작은도서관
부산광역시 서구 초장로27번길 32 (초장동) 지하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14km
바로가기
책갈피작은도서관
부산광역시 중구 보수대로 124번길 24-2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16km
바로가기
산리작은도서관
부산광역시 중구 영주로 21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18km
바로가기
남일이네 작은도서관
부산광역시 서구 천마로 176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km
바로가기
리빙스턴 작은도서관
부산광역시 영도구 남항로10번길 15(남항동2가)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km
바로가기
남일이네작은도서관
부산광역시 서구 천마로 176 (남부민동) 4층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km
바로가기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2가, 동아대학교부민캠퍼스)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9km
바로가기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2가, 동아대학교부민캠퍼스)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9km
바로가기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2가, 동아대학교부민캠퍼스)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9km
바로가기
동아대학교 법무대학원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2가, 동아대학교부민캠퍼스)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9km
바로가기
동아대학교 경찰법무대학원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2가, 동아대학교부민캠퍼스)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9km
바로가기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225 (부민동2가, 동아대학교부민캠퍼스)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9km
바로가기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부산광역시 서구 감천로 262 (암남동, 고신대학교의과대학, 고신대학교복음병원)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2.56km
바로가기
동아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부산광역시 서구 대신공원로 32 (동대신동3가, 동아대학교구덕캠퍼스)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2.8km
바로가기
동아대학교 예술대학원
부산광역시 서구 대신공원로 32 (동대신동3가, 동아대학교구덕캠퍼스)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2.8km
바로가기
동아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산광역시 서구 대신공원로 32 (동대신동3가, 동아대학교구덕캠퍼스)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2.8km
바로가기
부산보건대학교
부산광역시 사하구 사리로55번길 16 (괴정동, 동주대학)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3.3km
바로가기
고신대학교
부산광역시 영도구 와치로 194 (동삼동, 고신대학교)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3.48km
바로가기
광복로겨울빛트리축제
부산광역시 중구 광복중앙로 2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1km
바로가기
부산시민의종 타종식
부산광역시 중구 용두산길 37-55(광복동2가)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0.22km
바로가기
2025 카운트다운&해맞이 축제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2로 11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3.91km
바로가기
거제대구수산물축제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33.49km
바로가기
거제도국제펭귄수영축제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35.92km
바로가기
거제송년불꽃축제
경상남도 거제시 장승로 146-12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38km
바로가기
2025 간절곶 해맞이 행사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간절곶1길 39-2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41.52km
바로가기
천을산 해맞이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89.1km
바로가기
해맞이축제
대구광역시 서구 새방로 171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97.24km
바로가기
거창크리스마스트리문화축제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중앙로 103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0.95km
바로가기
여수향일암일출제
전라남도 여수시 향일암로 60 종무소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25.45km
바로가기
청년거리문화한마당
전라남도 여수시 시청로 1
'조선전보총국 표지석'에서 130.51km
바로가기
전보총국은 사실상 해체된다. 사역원(司譯院) 터 조선 태조 2년(1393) 설립된 외국어 교육기관이자 통번역 사무와 실무를 맡던 관청. 한학(漢學)·여진학(女眞...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민립 사학 양청 의숙이 세워진 자리이다. 2005년 표지석을 세웠으니 양정 동문이 창학 100주년을 기념하였던 것 같다. 우리나라...
넌 그럴 자격 있어!!(2025-03-14 02:46:00)
한성전보총국’이 들어섰다. 창학 터에서 도보 5분 거리에 표석이 자리한다. 한글가온길을 따라서 세종문화회관 예술의 정원 한글가온길은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만든 테마 산책길이다. 코스는 세종대왕 동상부터 시작해 광화문광장, 경복궁 등을 거쳐 주시경집터까지 이어진다. 그중 세종예술의 정원은 ‘한글...
마굿간(2025-06-20 07:28:05)
한성전보총국 터가 있고 조선시대 외국어의 통번역을 담당했던 사역원 터도 있다. 그렇게 걸어서 경복궁 서쪽문인 영추문 맞은편에 도착하자 통의동 보안여관이 나타난다. 마침 안에선 은밀한 선택이라는 전시도 열리고 있으니 여관도 보고 전시도 구경할겸 들어가본다. 옛 여관 모습을 그대로 살렸다. 그때 그 시절...
스마트하게 즐기며 사는 이야기(2024-08-14 15:49:00)
조선 후기에 개국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우체국이다. 아울러 조선의 개화를 목표로 일으킨 갑신정변의 현장이기도 하다. 도로에서 보면 도화서 터 표지석이 있다. 도화서는 조선시대 그림과 관련한 관청으로 한국 전통 회화의 중심 역할을 했던 곳이다. 입구에는 우정총국 중수 기념비가 있고 안내문이 세워져...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2025-05-11 11:24:00)
을 가설하여, 청나라가 자본과 기술을, 조선이 전선가설에 필요한 전신주와 노동력, 그리고 전선 경비병력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전선가설공사는 바로 착공되어...세계와 연결되게 되었다. 세종문화회관 뒤편 한성전보총국 표지석, 출처: 네이버 지도 한성전보총국의 운영은 조청전선조약에 따라 청나라 측이 담당하였고...
전영식(2023-12-15 07:01:21)
파괴된 조선신궁의 모습은 확인할 수 없었지만, 단지 학교 업무로 방문했던 곳에 이렇게나 많은 유물이 남아 있다는 것이 매우 신기했다. 이곳에 다시 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⑥ 국토발전전시관 (창덕여중 바로 옆) 이곳은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시설이라고 한다. 2층부터 4층까지 전시관으로 운영되고 있고...
고등학교 역사교사(2024-09-29 15:50:00)
광복로 중 국제시장에서 용두산공원으로 가는 길목에 작은 표지석 하나가 있습니다. 조선전보총국 부산분국 터 이곳은 1887년(고종 24년)에 조선전보총국 부산...자랐음을 뜻하는 것이므로 이와 같은 역사적 사실을 길이 보존하기 위해 표지석을 세운다. 부산우편국(1910~1953) (출처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이 표지석...
그게 궁금해서 찾아온 블로그(2023-10-29 22:10:50)
전우총국이란 이름으로 우편 업무를 다시 시작하였다. 그러나 일본에 통신권을 빼앗긴다. 1905년 이후에는 한어학교, 중동야화교, 경성 중앙우체국장 관사 등...되었다. 출처: 우정총국 안내 표지판 사적 213호인 우정총국(郵政總局)은 조선시대 후기 우체업무를 담당하던 관청으로 한국 역사상 최초의 우체국이라고 할...
걸어서 세상 그리기(2024-08-27 22:52:00)
한성전보 총국 설립 1885 한성전보총국 표지석 [세종대로 175 (세종공원 내) ] 한성전보총국~조선 고종 22년(1885년) 조청전선조약(朝淸電線條約)을 체결한 후 조선과 청을 연결한 서로전선(西路電線)을 운영하기 위해 세웠다 한성 전화소( KT의 모체) 1894 청일전쟁 후, 일본군이 서로전선을 점령후 해체했다...
danggan0912님의블로그(2023-12-29 09:00:00)
한성전보총국이 있었기에 김창수(백범 김구) 선생님이 일본군 장교를 살해고 사형당할 뻔한 사항에서 고종의 전화로서 사형을 멈출 수 있던 일화는 유명합니다...도입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일제강점기 식민지를 통해 근대화된 것이 아닌 조선 스스로 노력이 있었습니다. 경성의 레지스탕스 < Gyeongseong Resistance...
금빛나무(2024-06-07 21:44:1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